Architecture/Infrastructure
-
OSI ModelArchitecture/Infrastructure 2025. 2. 15. 01:00
OSI Model & 7 Layers OSI 7계층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을 계층별로 나눈 모델로, 각 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특정한 역할을 담당한다. Protocol 두 시스템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어떻게 통신할지, 어떤 형식으로 데이터를 보낼지, 오류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 등을 규정한 일종의 약속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의 교환 규칙과 절차를 정의한 규격) 문법 (Syntax): 데이터의 형식이나 구조를 정의. 예를 들어, 메시지가 어떤 순서로 나타날지, 각 데이터 필드가 어떻게 구성될지를 결정.의미 (Semantics): 데이터가 전달되는 의미나 목적을 정의. 예를 들어, 특정 메시지가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인지", "전송 완료를 알리는 것인지" 등을..
-
Twelve-FactorArchitecture/Infrastructure 2025. 2. 15. 00:31
Twelve-Factor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모범적인 개발 방식을 제시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잘 반영한 방법론으로, 현대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많은 도움을 준다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 유지보수성, 배포 효율성을 높이는 데 초점 개발과 운영의 일관성 유지: 환경에 상관없이 애플리케이션이 일관되게 동작하도록 함확장성: 애플리케이션이 쉽게 수평 확장(horizontal scaling)될 수 있도록 함효율적인 배포: 배포 과정이 일관되고 자동화, 빠르고 안정적유지보수 용이성: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확장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도움. Twelve-Factor의 12가지 원칙 1. Codebase (하나의 코드베이스, 여러 배포)애플리케이..
-
LinuxArchitecture/Infrastructure 2023. 3. 18. 18:10
Mac Terminal를 사용하던 중 2년전 포트폴리오를 준비하여 AWS 서버에 Oracle 및 Java 환경을 구축하려 애쓰던 기억이 떠올랐다. 다행히도 당시에 명령어를 정리해 놓은 내용이 남아 있었고 올해 Blog를 시작하며 그동안 정리해 놓은 텍스트들을 올릴 예정이다. 새롭게 알게되는 내용들을 게시물에 계속 업데이트하려고 한다. (너무 간략하게 적어놔서 디테일이 떨어진다 😅) 1. Linux 개요Linus Tovalds에 의해 개발됨 (open source 개념의 시작)서버구축이 주요 목적 : cloud service 대부분이 linux (aws)멀티 유저 운영체제 : 하나의 Server를 여러사람이 사용 (권한 및 보안관리가 중요)Ubuntu Server : Radhat 계열의 Linu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