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Amazon Web Services)DevOps/AWS 2023. 3. 18. 20:34
Linux에 이어 서버배포 Ubuntu 환경구축에 활용했던 AWS 설정 및 배포과정에 대해 남겨두려 한다.
포트폴리오를 한창준비할때는 서버를 올려놓았으나, 취업후 kill..!
(프리티어로 진행했었으나 관리를 지속적으로 못할것 같아 서버를 닫았다.)
이때 공부했던 정보들은 실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
1. AWS (Amazon Web Services)
- Amazon에서 개발한 Cloud Computing Platform
- network 기반으로 가상 컴퓨터, 스토리지, 인프라 등 서비스 제공
- 컴퓨팅 (EC2 service) , networking, storage, authority, security, application Service 제공
Cloud Computing Concepts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가상서버, 네트워크 등 리소스를 서비스형태로 제공 (AWS) PaaS (Platform as a Service) DB, Application 등 미들웨어를 제공 (OS, DB, WAS, JDK) SaaS (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Application의 기능만 제공 (네이버클라우드, 웹메일, ERP)
2. 시스템 구성
- AWS 에 Linux instance 생성
- Linux 에 java, tomcat, oracle, jdk 등 설치 (version 주의)
- lagarcy project : war file 을 linux tomcat에 넣고 start
- boot project : remote git 으로 linux clone 후 mvvn으로 .jar 변환후 실행
3. AWS 기본설정
① 원하는 가상 서버 선택
- Ubuntu Instance 생성
② 인스턴스 유형 및 보안그룹 구성
- tomcat 사용시 TCP 8080 port를 열어줌
③ Instance 접속 (xshell / putty 사용)
- IP address를 호스트에 붙여넣기
④ Instance에 환경 설정
https://isaac-yoon.tistory.com/25
⑤ project upload (FTP 활용 : filezilla)
⑥ tomcat 구동
- 시작 : $ sudo service tomcat8 start
- 중지 : $ sudo service tomcat8 stop
- 상태 : $ sudo systemctl status tomcat8.service
4. Elastic IP (탄력적 IP)
- ENI (Elastic Network Interface) : 일종의 가상의 랜카드이며, AWS에서 유료서비스 (리전당 5개 탄력적IP로 제한)
- Public IP는 유동적인 IP주소로 EC2 Instance 를 중지하고 새롭게 실행상태 변경시 기존에 할당받은 IP주소가 변경되는 현상 방지
① Elastic IP 생성
② Elastic IP - EC2 Inctance 연결
③ Elastic IP - EC2 Inctance 연결상태확인